건강

피부에 이상 신호? 대상포진 초기증상과 주의할 징후 10가지

healthbodyinfo 2025. 5. 20. 21:41

피부 통증과 감각 이상, 이것이 대상포진의 시작일 수 있습니다. 대상포진 초기증상부터 치료법까지 자세히 정리해드립니다.

 

대상포진은 수두를 일으키는 바이러스인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 Zoster Virus)’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어릴 적 수두를 앓고 나면 바이러스는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신경절에 잠복해 있다가, 면역력이 약해졌을 때 다시 활성화되며 대상포진으로 나타납니다. 주로 50대 이상이나 면역력이 저하된 사람들에게서 흔히 발생하며, 피부에 띠 모양의 수포가 생기고 극심한 신경통을 동반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대상포진은 단순한 피부 질환이 아니라 심각한 신경계 후유증을 유발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 특히 초기 치료 시기를 놓치면 대상포진 후 신경통이라는 만성적인 통증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어 삶의 질을 심각하게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눈 주변에 발병하면 시력 저하, 안면 부위에 생기면 안면마비 같은 심각한 합병증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대상포진 초기증상
대상포진 초기증상

 

대상포진 초기증상 1. 국소 부위의 통증 또는 저림

대상포진의 초기 증상은 발진이 나타나기 며칠 전부터 피부 아래 신경을 따라 나타나는 통증이나 저림으로 시작됩니다. 이 통증은 일반적인 근육통과 달리 타는 듯하거나 쑤시는 느낌으로, 주로 몸통, 가슴, 복부 한쪽에 국한되어 나타납니다.

 

 

 

대상포진 초기증상 2. 피부 감각 이상

감각이 예민해지면서 평소에는 통증을 느끼지 않을 자극에도 민감해집니다. 옷이 스치기만 해도 아프거나 간지럽고, 따끔거리는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이는 바이러스가 신경을 자극하기 때문입니다.

 

 

 

대상포진 초기증상 3. 미열 및 전신 피로감

발진이 발생하기 전, 감기와 비슷한 미열이나 전신 권태감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시기에 몸살처럼 느껴져 대상포진이라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상포진 초기증상 4. 특정 부위의 따끔거림 또는 화끈거림

피부에 직접적인 이상이 보이기 전에 국소 부위에서 따끔거리거나 화끈거리는 느낌이 듭니다. 이 증상은 신경을 따라 퍼지는 대상포진의 전형적인 초기 징후입니다.

 

 

 

대상포진 초기증상 5. 발진 전 붉은 반점

초기 통증이 나타난 후 1~3일 사이에 해당 부위에 붉은 반점이 생깁니다. 이 반점은 시간이 지나면서 수포로 변하게 되며, 띠 모양으로 퍼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대상포진 초기증상 6. 수포(물집) 형성

붉은 반점 위로 맑은 액체가 찬 수포가 생기며, 이 수포는 군집을 이루어 나타납니다. 이후 수포는 혼탁해지고 터지거나 가피(딱지)를 형성하게 됩니다. 수포 발생은 대상포진 진단의 중요한 기준입니다.

 

 

 

대상포진 초기증상 7. 림프절 비대

감염 부위 근처 림프절이 붓거나 만졌을 때 통증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는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 반응으로 인한 증상입니다.

 

 

 

대상포진 초기증상 8. 소화불량 또는 복통

특히 복부 쪽에 대상포진이 발생한 경우, 신경통이 장기를 압박해 소화불량이나 구토, 복통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위장 질환으로 오인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대상포진 초기증상 9. 안면 부위의 이상감각

얼굴, 특히 눈 주변에 대상포진이 발생할 경우 시야가 흐려지거나 이물감, 눈물 과다 등이 초기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안면부 대상포진은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대상포진 초기증상 10. 수면 장애 및 우울감

신경을 따라 나타나는 극심한 통증은 수면을 방해하고 피로를 누적시킵니다. 이로 인해 초기 단계부터 수면의 질이 떨어지고, 우울감이나 불안 증상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마치며

대상포진 치료는 가능한 한 빠르게 시작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초기 증상 발생 후 72시간 이내에 항바이러스제를 복용하면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하고 통증 및 합병증 위험을 낮출 수 있습니다. 통증 완화를 위해 진통제, 국소 스테로이드, 신경안정제 등이 병행되기도 하며, 증상이 심할 경우 입원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예방을 위해 50세 이상 성인은 대상포진 예방접종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